2024-03-02-blog01



시작하면서…

이전 단계들에서, 기초적인 설정들을 완료하였습니다.
이제 포스팅을 올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카테고리.md 파일을 만들었던 방법과 비슷하기 때문에 어렵지않게 포스팅을 생성이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_posts 폴더 생성

  • 파일위치 : github.io 폴더 > _posts 폴더 (신규생성)

최상위 폴더 위치에 _posts 폴더를 생성합니다.

스크린샷 2024-03-02 오후 1 45 19

앞으로 생성되는 포스팅.md 파일은 _posts 폴더내에 생성합니다.
여기까지 준비하신다면, 포스팅을 생성할 모든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포스팅 생성하기

  양식 작성

  • 파일위치 : github.io 폴더 > _posts 폴더 > (Date “yyyy-mm-dd)-name.md 파일 (신규생성)

제가 현재 작성한 글의 양식을 예시로 살펴보겠습니다.
‘- - -‘로 구분되어 있는 부분을 수정하여 양식을 작성합니다.

  • 파일이름 : yyyy-mm-dd-파일-이름.md 와 같이 작성합니다.

  • title: 화면에 출력되는 포스트의 제목
  • excerpt: 포스트 목록에서 출력되는 포스트의 상세설명
  • header:
                  teaser: 포스트 목록에서 출력되는 포스트의 썸네일 이미지
  • date: 포스트 작성일
  • last_modified_at: 포스트의 마지막 수정일
  • categories: 포스트의 카테고리
  • tags: 포스트의 태그


# TOC 생성 (추가사항)

toc는 Table of Contents의 약칭으로, 게시물 우측에 생성되는 목차입니다.
필수항목은 아닙니다.

양식 작성시 아래 항목들을 추가해주시면 적용됩니다.
지정방법으로는, Markdown의 헤더(Header)인 #을 사용해주시면 자동으로 기재됩니다.

(별도의 목차 사용시, 적용되지 않습니다.)

  • toc : true # 클릭 시 해당 타이틀로 이동
  • toc_sticky : true # 화면을 스크롤을 해도 항상 우측 상단에 고정됩니다.
  • toc_label : “title_text” # toc의 제목입니다.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표시됩니다.


  내용 작성

  • 파일위치 : github.io 폴더 > _posts 폴더 > 생성한포스트.md 파일

양식 작성도 끝마쳤다면 ‘ - - - ‘ 이후의 공간에 포스트 내용을 작성해 봅시다 !

스크린샷 2024-03-02 오후 2 07 45


이미지 업로드

저의 경우엔, 생성한 github.io repo의 Issue에 이미지를 업로드 후, 코드를 생성하여 포스트에 사용하였습니다.
아래 순서에 맞게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하고, 포스트에 이미지를 업로드 해봅시다 !

  • (github ID).github.io 로 생성한 repo의 상단탭의 Issues를 클릭합니다. (Code / Issuses / Pull requests …)

  • New Issue를 클릭하여 새로운 Issues 생성 창으로 이동합니다.

  • 이미지 파일을 Write 블록안으로 드래그 하면 자동으로 코드가 생성됩니다.

  • 해당 코드를 복사하여 포스트에 붙여넣으면 이미지가 출력됩니다.

스크린샷 2024-03-02 오후 2 35 13

위의 이미지와 같이 코드가 표시되고 해당 코드를 포스트에 옮겨야 합니다.


Markdown 문법

이전에도 설명드린대로, Github Blog는 Markdown 문법이 적용됩니다.
이중 적용되는 문법도 있는 반면, 적용되지 않는 문법들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항상 배포전에 Localserve(127.0.0.1:4000)에서 구동 후 포스트의 내용을 확인하고 포스팅 해야합니다.

우선은, 포스트 작성시 공식문서 및 서칭을 통해 제가 사용했던 문법들을 간략히 기재해 보겠습니다.

  # ~ ###### 로 제목 크기에 따라 h1 ~ h6을 나타낸다


Text

강조 텍스트

  **강조된 텍스트입니다**

기울여진 텍스트

  *기울여진 텍스트*

밑줄

  <u>밑줄 있는 텍스트</u>

줄바꿈

  <br> : 텍스트 사이에 추가하여 줄바꿈 출력

공백

  &nbsp; : 텍스트 사이에 추가하여 공백 출력


링크

링크만 있는 inline 링크 http:127.0.01:4000

  <http:127.0.01:4000>

설명 있는 inline 링크 로컬테스트

  [로컬테스트](http:127.0.01:4000)


문자 정렬

  • 왼쪽 정렬 {: .text-left} (Default)

    왼쪽 정렬
    {: .text-left}
    
  • 중앙 정렬 {: .text-center}

    중앙 정렬
    {: .text-center}
    
  • 오른쪽 정렬 {: .text-right}

    오른쪽 정렬
    {: .text-right}
    


이미지 정렬

  • 왼쪽 정렬 {: .align-left} (Default)

    (이미지코드)
    {: .align-left}
    
  • 중앙 정렬 {: .align-center}

    (이미지코드)
    {: .align-center}
    
  • 오른쪽 정렬 {: .align-right}

    (이미지코드)
    {: .align-right}
    


지금까지 제가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자주 사용했던 내용들을 기록하였습니다.
포스팅전 항상 로컬환경에서 테스트 후 이상이 없는것을 확인한 뒤 git push 해주세요 !

태그:

카테고리:

업데이트: